를 부서지기 쉽게 하라는 지침
페이지 정보
작성자 test 댓글 0건 조회 25회 작성일 24-12-31 11:33본문
한국공항공사가 무안국제공항 설계 용역 입찰공고 때로컬라이저(방위각표시시설)를 부서지기 쉽게 하라는 지침을 내린 것으로 31일 확인됐다.
무안공항의로컬라이저는 ‘콘크리트 둔덕형’으로 설치돼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피해를 키운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국민일보가 확보한 2020년 3월 3일자.
또한 주 실장은 참사 여객기가 충돌한 둔덕형의로컬라이저(방위각표시시설)의 경우 “안전구역 199m 이내 설치돼 국제민간항공기구(IACO) 기준과 국내 기준인 240m, 미국 기준 300m에는 못 미치지만, 공항 면적 등에 따라 예외를 허용하고 있어 규정에는 맞게 설치돼 있다”고 말했다.
국토부는 다음 달 3일까지.
국토교통부가 무안국제공항 내 제주항공 여객기 활주로 이탈 사고와 관련해 “피해를 키운 콘크리트 둔덕인로컬라이저는 종단안전구역 밖에 위치해 규정에 어긋난 점이 없다"는 해명을 내놓았지만 이는 국토부가 작성한 '비행장시설 설계 세부 지침'의 규정과도 다른 것으로 밝혀졌다.
국토부는 31일 별도의 참고자료를 배포해 방위각 시설(로컬라이저)이 설치된 둔덕은 장애물 설치가 제한되는 ‘활주로 종단안전구역’ 밖에 설치된 것이라고 강조했다.
‘항공장애물 관리 세부지침’ 23조 3항에 따르면 공항 부지에서 장애물로 간주되는 장비와 설치물은 부러지기 쉬운 받침대에 장착해야.
‘콘크리트 둔덕’ 위 설치된로컬라이저.
파손·변형 가능해야 9년 전 아시아나항공, 히로시마공항서로컬라이저부쉈다 전문가 “활주로 끝의 저런 구조물은 어디서도 본 적 없어” 29일 전남 무안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제주항공 항공기 참사의 원인 중 하나로 지적된로컬라이저(착륙 유도 시설)를 두고.
랜딩 기어(비행기 바퀴)가 내려오지 않은 상태에서 9시 2분 몸통으로 동체 착륙하던 사고기는 결국 1분 뒤인 9시 3분 콘크리트 재질로 된로컬라이저(방위각, 착륙 유도 안전시설) 및 외벽과 충돌하고 만다.
사고기 조종사가 조난 신호를 보낸 뒤 단 2분 만에 반대방향으로의 착륙허가가 나고 4분 만에 폭발한.
■로컬라이저안전·관리 부실 무안은 264m에 구조물 위치 “규정이내”지만 국제기준 미흡 높은 둔덕에 콘크리트 구조물 대형참사 키운 원인으로 지목로컬라이저이상 경고도 2차례 12·29 무안공항 제주항공 참사에서 ‘로컬라이저(방위각, 착륙 유도 안전시설)’가 설치된 ‘죽음의 둔덕’이 피해를.
항공안전을 연구하는 나즈메딘 메시카티 서던캘리포니아대 공과대 교수는 30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 인터뷰에서 “무안공항의 단단한 구조(로컬라이저콘크리트 구조물)는 항공기가 충돌했을 때 치명적이었다”며 EMAS 설치 필요성을 강조했다.
EMAS는 충분한 활주로종단안전구역(RESA)을 확보하지.
https://www.nahaengdong.co.kr/
‘활주로 300m 이내 구조물은 쉽게 부러져야’ 기준 못미쳐 국토부, 무안공항 관제사 조사 ‘12·29 무안공항 제주항공 참사’ 당시 활주로 주변 콘크리트 둔덕 위 ‘로컬라이저(방위각, 착륙유도 안전 시설)’의 설치 상태가 국제적 기준에 맞지 않으면서 무안공항이 ‘안전 사각지대’였다는 지적이 커지고.
무안공항에는 활주로 종단 부분에 높이 2~3m의 콘크리트 둔덕을 쌓아 이른바로컬라이저를 설치했습니다.
로컬라이저는 항공기에 전파를 쏴 활주로에 정확하게 착륙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시설입니다.
2~3미터 높이로 둔덕을 쌓은 것은 경사 진 지형의 특성을 고려한 건데요.
활주로 끝에서 약 200m도 채 안 되는.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